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75)
git branch생성, 이동, 위치확인, merge하기, main에서 내 브랜치 merge // git branch 이동 git checkout 이동하고싶은브랜치이름 // git 브랜치 생성 git branch 생성 하고자 하는 이름 // 여기서 주의할것은 브랜치를 만든후 commit을 해줘야 그 브랜치가 생성된다. // git 현재 브랜치 위치 확인 git branch // merge하기 ( 내브랜치 -> main ) // 1. 병합하려는 브랜치로 이동. git checkout main // 2. mian 으로 이동후 아래 코드작성. git merge 병합 하고자 하는 브랜치명 //3. 병합 후 커밋 git add . git commit -m "병합 to main"
리액트 소수점을 표현하고 싶을때 toLocaleString() 숫자를 나타나게 하다가 숫자에는 늘 , 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서 찾아보니 불러오는 데이터에서 .toLocaleString( ) 만 추가하면 된다는걸 알았다. 예시 코드는 아래. if (data && data.total !== undefined) { set({ total: data.total.toLocaleString(), detected: data.detected.toLocaleString(), repaired: data.repaired.toLocaleString(), received: data.receivedData.toLocaleString(), });
zustand를 사용하면서 알게된점들, 콜백 함수의 정의 재정립 , 상태관리 변수(인자값) 에 대해 알아보자. zustand를 사용하면서 헷갈리는 것들이 있었다. 예를 들면 zustand가 아니고 원래 상태관리를 할때에는 아래처럼 쓰는데 const [count, setCount] = useState(0); // 이전 상태에 의존하여 상태를 업데이트 setCount(previousCount => previousCount + 1); zustand에서는 이런식으로 사용하는 부분이다. set(state => ({ count: state.count + 1 })); 이부분에서 내가 헷갈렸던 것은 previousCount 부분이다. 여기서 이 변수가 어디서 나온건지도 헷갈리고 뭘하고싶은지가 정립이 안되었었다. 여기서 나오는 previousCount는 결국 내가 지정하는 변수명이다. 즉 const [count, setCount..